단통법 시행 뒤 기기변경 늘고 번호이동은 감소_살인 포커 플레이어 고이아니아_krvip

단통법 시행 뒤 기기변경 늘고 번호이동은 감소_미식축구 슬롯 기능_krvip

지난해 10월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이 시행된 이후 이동통신사의 기기변경 가입자는 크게 늘어난 반면 번호이동 가입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 유형에 따른 이용자 간 차별을 없애겠다는 제도 도입의 목표가 일정 부분 달성된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단통법 시행 전인 지난해 1∼9월 이동통신 3사의 유형별 가입자 비중(평균)은 신규가입이 34.8%, 번호이동이 38.9%, 기기변경이 26.2%였다.

번호이동이 가장 많고 기기변경은 가장 적은 분포를 보인 것이다.

변화는 단통법 시행 첫 달인 작년 10월부터 나타났다. 10월 이 비중은 신규가입 36.9%, 번호이동 25.3%, 기기변경 37.8%로 바뀌었다.

번호이동이 줄어들고 기기변경은 늘어난 것이다.

이런 추세는 시간이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다.

번호이동 가입자 비중은 4월 21.2%로 단통법 시행 후 최저점을 찍었다. 같은 달 기기변경 비중은 54.7%에 달해 반대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신규가입은 24.1%였다.

미래부 관계자는 "과거의 유형별 가입자 비중에 대한 자료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잘라 말하긴 힘들지만 4월의 번호이동 비중, 기기변경 비중은 각각 사상 최저치, 사상 최고치에 해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5월에는 번호이동이 24.2%, 기기변경이 48.9%로 번호이동은 줄고 기기변경은 늘어나는 추세가 다소 후퇴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럼에도 단통법 시행 뒤 번호이동 가입자 비중은 꾸준히 30%를 밑돌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월별로 이통사들이 벌이는 각종 행사에 따라 유형별 가입자 비중에 등락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번호이동은 줄고 기기변경은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런 변화를 가입 유형에 따라 지원금에 차등을 두지 못하도록 한 단통법의 효과로 해석한다.

과거에는 이통사들이 가입자 뺏기 경쟁에 몰두하면서 지원금을 번호이동 가입자에게 몰아줬다. 그러다 보니 가입자들은 지원금 혜택을 보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번호이동을 했는데 이제는 장기고객으로 남는 기기변경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예전엔 기기변경을 하면 갖고 있던 포인트나 멤버십 혜택 등을 포기해야 하는데도 지원금을 받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번호이동을 하는 소비자들이 많았다"며 "최근의 변화는 시장이 정상화하고 있다는 시그널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KT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하며 본격화한 요금 경쟁도 단통법의 효과로 보고 있다.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과거처럼 언제 갑자기 대규모의 마케팅 비용을 풀어야 할지 몰라 이에 대비해야 할 일이 없어졌고, 이런 불확실성이 사라지면서 생긴 여유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전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는 단통법이 없었다면 앞으로 5년 정도는 도입이 불가능한 요금제였다"며 "단통법으로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이제 요금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