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부전 퇴원 후 2년 내 사망률 27.6%_나눔으로 돈을 벌다_krvip

급성심부전 퇴원 후 2년 내 사망률 27.6%_블록스버그에서 돈 많이 버는 방법_krvip

급성심부전 환자의 퇴원 후 2년내 사망률이 30%에 가깝게 나타나는 등, 예후가 대장암보다 나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이 지원하는 '급성심부전 레지스트리' 연구진에 따르면, 급성심부전 증상으로 입원한 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은 4.8%, 퇴원 후 6개월 내 사망률 12.4%, 1년 내 18.2%, 2년 내 27.6%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2년 내 사망률은 대장암(23.7%)이나 위암(25.6%)의 5년 사망률보다 높은 수치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심부전은 심근경색이나 고혈압 등의 질환으로 심장기능이 떨어져 호흡 곤란, 발목 부종, 피로감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국내 심부전 유병률은 2002년 0.75%에서 2013년 1.53%로 약 2배 증가했으며, 2040년에는 3.35%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국립보건연구원이 2011년부터 운영하는 '급성심부전 환자 레지스트리'는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전국 10개 대학병원에서 총 5천625명의 환자를 등록해 5년 동안 추적 관찰을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급성심부전의 원인 질환은 허혈성 심장질환이 37.6%로 가장 많았고, 심근병(20.6%), 판막질환(14.3%), 부정맥(10.6%) 등이었다. 심부전을 악화시킨 요인은 심근허혈(26.3%), 빈맥(20.4%)과 감염(19.6%) 등이었다.

급성심부전으로 입원했는데 급성신장기능부전 증상이 같이 나타난 경우 사망위험은 13배나 높았고, 저혈압, 저나트륨혈증을 보인 경우에는 약 2배 정도 높았다.

퇴원 후 한 달 이내에 재입원한 환자가 7%, 1년 이내에 재입원한 환자는 23%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심장학회지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급성심부전환자의 사망률 감소를 위해 심부전 치료의 표준화와 재입원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적극적 환자 관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심부전환자 관리와 치료지침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